티스토리 뷰

정보글

25년 출산혜택

오늘의 편안함 2025. 3. 31. 22:11

목차



    25년 출산혜택

    임신 중 혜택

    1. 임신출산 바우처 100만 원

    지원금액 : 단태아 100만 원/ 다태아 140만 원
    사용기간 : 분만예정일 1년 이후까지 사용가능
    사용처 : 산부인과 한의원 병원 약국
    신청방법 : 온라인 (카드사 홈페이지)
    (카드사에 직접 신청하기보다는 사은품과 지원금을 받을 수 있는 미즈톡톡, 베베폼, 맘스다이어리 등의 사이트 이용하에요.)

     

    2. 보건소 임산부 등록

     

    지자체별로 지원혜택이 달라 지역 임산부 지원혜택을 따로 찾아보면 좋습니다.

     

    3. KTX&SRT 할인

    정부 24나 역창구에서 신분증과 임신확인서를 제출하면 등록 가능하다고 합니다.

     

    25년 출산혜택

    출산준비 출산 후 혜택


    1. 첫 만남이용권 


    국민행복카드(바우처) 지급
    지급금액 첫째아 200만 원
    둘째아 이상 300만 원
    사용기한 출생일로부터 1년 이내
    신청 방법 
    온라인 - 복지로, 정부 24
    오프라인 - 거주지 보건소, 읍 면 동 주민센터

    (첫 만남이용권은 모든 신생아에게 자동 지급되지만, 국민행복카드를 발급받아야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.

    2. 출산지원금 - 지역별 차이

     

    서울특별시 

   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50만 원 지급(강남구, 송파구 등 일부 지역에서는 첫째 100만 원, 둘째 200만 원 지급)

    - 3자녀 이상 출산 시 지원금이 더 늘어날 수 있어 확인 필요

     

    경기도

    수원시 : 첫째 50만 원, 둘째 100만 원, 셋째 200만 원

    성남시 : 첫째 30만 원, 둘째 50만 원, 셋째 100만 원

    고양시 : 첫째 50만 원, 둘째 100만 원, 셋째 150만 원

    포천시 : 첫째 200만 원, 둘째 300만 원, 셋째 500만 원 

     

    인천광역시

    첫째 100만 원, 둘째 200만 원, 셋째 이상 300만 원

     

    부산광역시

    첫째 50만 원, 둘째 100만 원, 셋째 150만 원, 넷째 이상 200만 원

     

    제주도 500만 원, 둘째 이상 1000만 원(연 200만 원 5년간 지급)

    *무주택자인 경우 주거임차비(1400만 원) 또는 출산지원금 중 선택 신청 가능

     

    출산지원금은 중앙정부가 아닌 각 지차제에서 별도로 운영하기 때문에, 거주 지역에 따라 지원금이 다릅니다.

     

    그 외의 지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

    (출산지원금은 출생일 기준 최소 6개월 이상 거주해야 받을 수 있습니다. 출생일 기준 주거기간이 부족한 경우, 6개월이 초과되고 신청하면 지급받을 수 있습니다.)

     

    25년 출산혜택


    3. 산후조리비 지원 - 지역별 차이

    산후 조리비 또한 지자체별로 지원금과 지원혜택이 상이합니다.


    4. 부모급여&아동수당 

    부모급여 : 0~11개월 월 100만 원, 12~23개월 월 50만 원

    아동수당 : 만 8세 미만 아동에게 매월 10만 원 지급

    5. 한전  전기요금 할인 - 3년간 지원

    지급대상 : 주민등록상 출생일로부터 3년 미만의 영아가 포함된 가구
    할인 금액 : 전기요금의 30% 할인 (월 최대 16,000원 한도)
    신청방법 : 한전 고객센터(국번 없이 123) 또는 온라인 신청
     

    25년 출산혜택

     

    6. 정부지원 산후 도우미


    선정기준 : 산모 또는 배우자가 생계, 의료, 주거, 교육급여 수급자 또는 차상위계층에 해당하는 출산가정
    산모 및 배우자의 건강보험료 본인부담금 합산액이 전국가구 기준 중위소득 150% 이하에 해당하는 출산 가정
    (정해진 소득이 초과하더라도 예외적으로 지원이 필요하다고 인정되는 유형에 대해서는 지자체가 별도의 기준을 정해 지원가능 - 보건소 문의
    신청 방법 : 오프라인 - 관할 보건소, 온라인 - 복지로, 정부 24


    7. 제왕절개 비용 전면 무료화

    6. 출산휴가 

    배우자 출산 휴가 2배로 확대

     



    7. 육아휴직

    최대 1년 6개월로 확대
    육아 휴직 급여 인상, 사후지급금 폐지

     

     

    8. 신생아 특례 대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5년 출산혜택

     

    반응형